음악감상

[스크랩] # 가수 박인희와 시인 故박인환 ["목마와 숙녀"]

김재수(클리어) 2012. 7. 5. 09:57

 

 

 

 # 가수 박인희와 시인 故박인환 ["목마와 숙녀"]

 

 

 

 

 

 




한 잔의 술을 마시고
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생애(生涯)와
목마(木馬)를 타고 떠난 숙녀(淑女)의 옷자락을 이야기한다.

목마는 주인을 버리고 그저 방울 소리만 울리며
가을 속으로 떠났다. 술병에서 별이 떨어진다.
상심(傷心)한 별은 내 가슴에 가벼웁게 부숴진다.

그러한 잠시 내가 알던 소녀(少女)는
정원(庭園)의 초목(草木) 옆에서 자라고
문학(文學)이 죽고...
인생(人生)이 죽고...
사랑의 진리마저 애증(愛憎)의 그림자를 버릴 때...
목마(木馬)를 탄 사랑의 사람은 보이지 않는다.

세월은 가고 오는 것,
한때는 고립(孤立)을 피하여 시들어 가고
이제 우리는 작별(作別)하여야 한다.
술병이 바람에 쓰러지는 소리를 들으며,
늙은 여류작가의 눈을 바라다 보아야 한다.

……등대(燈臺)에……
불이 보이지 않아도
그저 간직한 페시미즘의 미래(未來)를 위하여
우리는 처량한 목마(木馬) 소리를 기억(記憶)하여야 한다.

모든 것이 떠나든 죽든
그저 가슴에 남은 희미한 의식(意識)을 붙잡고
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서러운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

두 개의 바위 틈을 지나 청춘(靑春)을 찾는 뱀과 같이
눈을 뜨고 한 잔의 술을 마셔야 한다.

인생(人生)은 외롭지도 않고
거저 낡은 잡지(雜誌)의 표지(表紙)처럼 통속(通俗)하거늘
한탄할 그 무엇이 무서워서 우리는 떠나는 것일까.

목마는 하늘에 있고
방울 소리는 귓전에 철렁거리는데
가을 바람 소리는
내 쓰러진 술병 속에서 목메어 우는데 ...

- 시낭송 : 박인희 -






박인환(朴寅煥, 1926 ~ 1956)

시인. 강원도 인제 출생. 경성 제일 고보를 거쳐 평양의전 수료. 1945년,
마리서사(마莉書肆)라는 서점을 경영하면서 김기림. 오장환. 김광균 등과
알게 되었고, 김경린. 김수영 등과 어울렸다.
1946년부터 시를 쓰기 시작했으며, 경향신문에 근무했다.

1949년, 김경린. 임호권. 박인환. 양명식 등 5인의 합동 시집인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을 발간하여 모더니즘의 기수로 각광을
받았다. 박인환은 1930년대 김기림을 중심으로 한 모더니즘을 계승한
1950년대의 후기 모더니즘의 대표적인 존재이다.

이러한 후기 모더니즘의 형식 적 새로움은 새로운 현실인식과 새로운
사회적 실천에서 불가피하게 태어난 것이 아닌, 현대 서구 문학 의 학습을
통해서 받아들여진 것이었다.

따라서 그 관념이 사회적 기반을 결(缺)하고 있다는 점에서 1930년대
모더니즘의 발전적 계승이 아니라는 비판이 있으며, 그것은 1940년대
말기의 명동 중심의 지적 풍토와 무관하지 않다.
박인환은 <후반기> 동인이었으며, 대표작으로 <목마와 숙녀>
 <세월이 가면> <얼굴>등이 있다.



1956년 이른  봄. 전란으로  폐허가  되었다가 어느정도 복구
되어 제 모습을 찾아가는 명동 한 모퉁이에 자리잡고 있는「경상도집」에
몇명의 문인들이 모여 술을 마시고 있었다.마침 그 자리에는 가수 羅愛心
(나애심)도 함께 있었는데,몇 차례 술잔이 돌고 취기가 오르자 일행들은
나애심에게 노래를 청했다.그러나 나애심은 노래를 하지 않았다.
朴寅換(박인환)이 호주머니에서 종이를 꺼내더니 즉석에서 시를 써내려갔다.
그것을 넘겨다보고 있던 李眞燮(이진섭)이 그 시를 받아 단숨에 악보를
그려갔다.그 악보를 들고 나애심이 노래를 불렀는데,그 노래가 바로
「세월이 가면」이다.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그의 눈동자 입술은
내 가슴에 있어.
바람이 불고
비가 올 때도
나는 저 유리창 밖
가로등 그늘의 밤을 잊지 못하지
사랑은 가고
옛날은 남는 것
여름날의 호숫가
가을의 공원
그 벤취 위에
나뭇잎은 떨어지고
나뭇잎은 흙이 되고
나뭇잎에 덮여서
우리들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
지금 그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그 눈동자 입술은
내 가슴에 있어
내 서늘한 가슴에 있건만
'세월이 가면'
한 시간쯤 지나 宋志英(송지영)과 나애심이 자리를 뜨고,테너 林萬燮 (임만섭)과 명동백작이라는 별명의 소설가 李鳳九(이봉구)가 새로 합석했다.임만섭은 악보를 받아들고 정식으로 노래를 불렀다. 그 노래소리를 듣고 명동거리를 지나던 행인들이 술집 문앞으로 몰려 들었다. 박인환은 1926년 8월15일 강원도 인제군 인제면 상동리에서 출생했다.부친 朴光善(박광선)은 중등교육을 마친 사람으로 면사무소에 다니고 있었는데,토지도 어느정도 소유한 시골 살림으로는 비교적 부유한 편이었다. 인제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한 박인환은 머리가 좋고 똑똑하여,부친은 아들 교육을 위해 면사무소를 그만두고 서울로 생활터전을 옮기며 산판업을 시작한다.가족들이 인제에서 서울 종로구 원서동 언덕빼기로 이사를 하고,그는 덕수공립보통학교 4학년에 편입한다. 1939년 박인환은 경기공립중학교로 진학하는데,이 무렵 영화와 문학의 세계로 빠져들어 공부 대신에 일어로 번역된 세계문학전집과 일본 상징파시인들의 시집을 열독하느라 밤을 새우기 일쑤였다. 결국 교칙을 어기며 영화관을 출입한 것이 문제가 되어 경기 중학을 중퇴한 그는 한성학교 야간부를 거쳐 황해도 재령의 명신중학교에 편입 하여 그곳을 졸업한다. 졸업 뒤 부친의 강요로 3년제 관립학교인 평양의전에 진학하지만, 해방이 되자마자 학업을 중단하고 서울로 내려온다. 훤칠한 키에 수려한 얼굴을 한 미남자 박인환은 당대 문인 중에서 최고의 멋쟁이,「댄디보이」였다. 여름에도 정장을 하곤 했던 그는 '여름은 통속이고 거지야.겨울이 와야 두툼한 홈스펀 양복도 입고 바바리도 걸치고 머플러도 날리고 모자도 쓸 게 아니냐?'고 말했다. 어느날 그는 친구들 앞에 땅끝까지 내려오는 긴 외투를 입고 나타나 '이게 바로 에세닌이 입었던 외투란 말이야'라고 의기양양하게 말했다. 에세닌이 자살하기 직전 입었던 외투 사진을 본떠 미군용 담요로 지어 입은 것이다. 그와 가까이 지냈던 시인 金次榮( 김차영)은 말한다. '그가 입고 다닌 양복은 외국 고급천에 일류 양복점의 라벨이 붙어 있었다.거기에 흐린 날은 손잡이가 묘한 박쥐우산,봄가을엔 우유빛 레인코트,또 겨울엔 러시아 사람들처럼 깃이 넓고 기장이 긴 진회색도 검정도 아닌 중간색의 헐렁한 외투를 입고 다녔다' 박인환은 통속적인 것을 혐오하고,원고 쓸 때는 구두점 하나에도 신경질적으로 까다롭게 굴고,싫어하는 사람과는 차도 한 잔 함께 마시지 않는 결벽증을 드러내 보이곤 했다. 수주 변영로가 금주를 선언하자 그를 찾아가 술을 마시지 못하는 사람은 사람 자격이 없다며 앞으로는 「선생」자를 떼겠다고 으름장을 놓았고, 문인 선후배들이 함께 모여 있던 한 영화의 시사회장에서 느닷없이 일어나 선배 평론가 백철을 향해 '어이,백철씨 저걸 알아야 돼.저걸 모르고 무슨 평론을 한단 말이오!'라고 일갈했다는 일화도 남아 있다. 한 잔의 술을 마시고 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생애와 목마를 타고 떠난 숙녀의 옷자락을 이야기 한다. 목마는 주인을 버리고 그져 방울 소리만 울리며 가을 속으로 떠났다 술병에서 별이 떨어진다 상심한 별을 내 가슴에 가벼웁게 부서진다. 그러한 잠시 내가 알던 소녀는 정원의 초목 옆에서 자라고 문학이 죽고 인생이 죽고 사랑의 진리마져 애증의 그림자를 버릴때 목마를 탄 사랑의 사람은 보이지 않는다. 세월은 가고 오는것 한때는 고립을 피하여 시들어 가고 이제 우리는 작별하여야 한다. 술병이 바람에 쓰러지는 소리를 들으며 늙은 여류작가의 눈을 바라다 보아야 한다.

.........등 대 에........

불이 보이지 않아도
그저 간직한 페시미즘의 미래를 위하여
우리는 처량한 목마 소리를 기억하여야 한다.
모든것이 떠나든 죽든
그져 가슴에 남은 희미한 의식을 붙잡고
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서러운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
두개의 바위틈을 지나 청춘을 찾은 뱀과 같이
눈을 뜨고 한잔의 술을 마셔야 한다.
인생은 외롭지도 않고
그저 잡지의 표지처럼 통속하거늘
한탄한 그 무엇이 무서워서 우리는 떠나는 것일까
목마는 하늘에 있고
방울 소리는 귓전에 철렁거리는데
가을바람 소리는
내 쓰러진 술병 속에서 목메어 우는데
'목마와 숙녀'
 
이렇게 노래했던 박인환은..
 

 

 
 

출처 : 무풍의 돌고도는 세상 이야기
글쓴이 : 무풍 원글보기
메모 :